절벽 뚫어 길을 만든 ‘현대판 우공이산’ 태행산
[최종명의 차이나는 발품 기행] <88> 태행산 ② 창즈 징디 괘벽공로, 신용만천폭협
2004년에 중편소설 “한산(喊山)”이 발표됐다. 루쉰문학상을 수상했으며 동명의 영화로 제작됐다. 부산국제영화제 폐막작이었다. “산이 울다”로 번역됐다. 소녀가 납치돼 절름발이 남자에게 팔려간다. 살인자인 줄 알게 돼 혀를 뽑히고 벙어리가 된다. 시간이 흘러 남자는 남편이 됐다. 아이 둘과 함께 산촌으로 숨어든다. 남편은 다리가 절단되는 사고를 당한다. 집으로 실려온 남편을 몰래 죽인다. 복수였다. 산자락에 올라 세숫대야를 두드리는데 무음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래서일까, 여인의 운명이 고스란히 스크린에 번진다. 그렇게 슬프게 우는 산, 태행산이다!
{계속}
'매체기고 > 한국일보발품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꽃 자수에 구슬 총총… 여성만 쓰는 싸니족 모자의 비밀 (0) | 2022.04.23 |
---|---|
'구름의 남쪽' 운남... 땀과 빛의 합작품 하니족 다랑논 (0) | 2022.04.09 |
중국의 그랜드캐니언?... '태행대협곡'으로 충분 (0) | 2022.03.12 |
꿈에라도 다시 한 번... 해발 4718m, 설산 품은 ‘하늘호수’ (0) | 2022.02.27 |
티베트 불교 사원은 왜 마녀의 나신에 그렸을까 (0) | 2022.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