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 돌, 흙의 삼림(三林)인 사림, 석림, 토림의 풍광을 유람하다
[최종명의 차이나는 발품 기행] <91> 윈난 민족 ③ 루량, 스린, 위엔머우
갑골문의 나무(木)는 단순했다. 나뭇가지와 뿌리가 글자가 됐다. 나무가 모여 숲(林)을 이뤘다. “시경”의 기회여림(其會如林)은 ‘그 깃발이 마치 숲과 같다’는 상나라 장병에 대한 비유다. 회를 모임이라 번역하는 경우가 있는데 군대 깃발이 맞다. 고대부터 ‘숲’은 이미 나무만이 아니라 ‘여럿이 한군데 모인 사람이나 사물’로 변모했다. 선비가 모이면 사림(士林)이고 모래가 모이면 사림(沙林)이다. 석림(石林)과 토림(土林)도 있다. 윈난 삼림(三林)이라 부른다. 쿤밍 부근에 모두 있다.
{계속}
'매체기고 > 한국일보발품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혜의 요새 풍경도 예술... 금사강 협곡 아슬아슬 명품 마을 (0) | 2022.06.06 |
---|---|
페미니스트의 오래된 미래... '아버지가 없는 나라'의 어머니 호수 (0) | 2022.05.22 |
꽃 자수에 구슬 총총… 여성만 쓰는 싸니족 모자의 비밀 (0) | 2022.04.23 |
'구름의 남쪽' 운남... 땀과 빛의 합작품 하니족 다랑논 (0) | 2022.04.09 |
벼랑 위의 도로... 현대판 '우공이산'인가 (0) | 2022.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