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단 도시에서 시인 두보의 ‘호우시절’을 따라간다
[최종명의 차이나는 발품 기행] <103> 쓰촨 ③ 두보초당, 무후사, 금리고가
봄비 내리는 밤에 두보(杜甫)가 붓을 들었다. 춘야희우(春夜喜雨)다. 안녹산이 반란을 일으키자 관직을 잃고 처자와 정처 없이 떠돌다 청두(成都)에 정착했다. 미관말직 하나 얻어 초당을 짓고 살던 시절이다. 농부의 마음을 헤아리며 지은 시로 761년 작품이다. 첫 구절은 영화 ‘호우시절’로도 유명하다. 출장 온 정우성은 우연히 미국 유학 시절 친구로 두보초당에서 가이드를 하고 있는 가오위엔위엔(高圓圓)을 만난다. ‘첫사랑의 로맨스’가 초당의 싱그러운 분위기와 잘 어울렸다. ‘시절’을 알고 내리는 비는 영화로 살아나 때맞춰 온 사랑이 됐다. 영화의 여운을 지니고 두보초당으로 간다.
{계속}
'매체기고 > 한국일보발품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새도 아찔한 잔도... 제갈량의 중원 진출 관문 (0) | 2022.12.08 |
---|---|
온 사방이 중국? 미스터리 고대 문명 '삼성퇴' (1) | 2022.11.19 |
덩샤오핑의 ‘3연임 금지’ 규정 깬 시진핑… 역사엔 어떻게 새겨질까 (0) | 2022.10.25 |
간장독이 예술... 보기만 해도 '붉은 눈물' 쓰촨의 매운맛 (0) | 2022.10.13 |
800년 상인의 수향... 주판에 인생 셈법을 담다 (0) | 2022.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