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13억과의 대화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13억과의대화방명록

검색하기 폼
  • 有约-13억과의대화 (1370)
    • 공지|프로필 (26)
    • 중국문화여행 (23)
    • 중국역사문화강좌 (90)
      • 공개강좌 (8)
      • 출간도서 (24)
    • 여행 후기 (257)
      • - 귀주계림여행 (63)
      • - 강남문화여행 (33)
      • - 실크로드여행 (16)
      • - 북경내몽고여행 (30)
      • - 중원문화여행 (21)
      • - 중경사천여행 (8)
      • - 휘주문화여행 (39)
      • - 티베트차마고도 (14)
      • - 운남하늘여행 (25)
      • - 동티베트여행 (7)
      • - 화북문화여행 (1)
    • 방송영상 (344)
      • 영상차이나 (274)
      • 한겨레TV-차이나리포트 (52)
      • TVIS 일단출발 (4)
      • ebs세계테마기행 (8)
      • 천하무림기행(의천도룡기) (6)
    • 매체기고 (259)
      • 오마이뉴스 (182)
      • 한국일보발품기행 (8)
      • 농심음식여행 (30)
      • 기타매체연재 (34)
    • 중국대중문화 (48)
    • 라이프차이나 (231)
      • 여우위에칼럼 (16)
    • 취재인코리아 (92)
  • 방명록

매체기고/기타매체연재 (34)
[차이나리뷰] 중국 4대 고성이야말로 진정한 문화여행!

고성(古城), 말만 들어도 흥분된다. 중국문화를 즐겨 찾아 ‘애지중지’ 취재해 알리는 일을 천직으로 여긴지 13년이다. 고성에는 역사와 문화, 서민의 삶과 애환이 고스란히 녹아 있으며 과거와 현재, 미래까지 공존하는 ‘그리운’ 고향 같다. 중국에 갈 때마다 고성이 부근에 있으면 반드시 찾는다. 꼭 하룻밤을 보내기도 하고 여러 번 다시 찾기도 한다. ‘엄마의 품’인 양 기분 좋은 공간이다. 중국의 고성은 셀 수 없이 많다. 발을 밟아본 곳만도..

매체기고/기타매체연재 2017.05.11 18:51
[차이나in인천] 4대 악녀의 '타산지석'

4대 악녀의 ‘타산지석’ 1900년, 서양 8개국 연합군이 베이징을 침공했다. 황제 광서제와 서태후(西太后)는 황급히 서안을 향해 서쪽으로 도피한다. 서태후는 촌각을 다투는 상황에서 광서제가 총애하던 진비(珍妃)를 산채로 우물에 빠트려 죽인다. 서양 ‘오랑캐’에게 능욕당하는 것을 예방한다는 명분이지만 정치적으로 대립하던 광서제에 대한 경고였다. 고궁 자금성에 가면 붉은 황궁 담벼락 옆에 처량한 모습으로 남아있는 진비정(珍妃井)은 ‘여성정치인..

매체기고/기타매체연재 2016.12.27 16:01
[차이나리뷰] 중국여행만큼 ‘가성비 대박’ 있으면 나와보라고 해!

여행이란 일상의 구속, 매일의 시간과 공간을 벗어나는 기쁨여행(旅行)이란 떠났다가 되돌아오는 일이다. 어디를 가고 어떻게 가며 또한 무엇을 하고 돌아와야 하는지 생각만으로도 즐겁다. 여행 계획을 짜는 시간이 가장 흥겹고 돌아와서 사진 보며 추억 바라는 때 역시 우쭐하다. 여행이란 그런 것인가 보다. 가끔 중국사람은 왜 ‘여유(旅游)’라고 할까 궁금하다. 여행을 주관하는 기관은 여유국이다. ‘유’자에 어떤 묘미가 있어 보인다. 문득 ‘소요유(..

매체기고/기타매체연재 2016.12.25 17:57
민중총궐기는 ‘성공한 홍수전’을 기대한다

민란의 현장에서 다시 꺼낸 <민,란> (06) 12월 9일, ‘대통령 탄핵’이 가결됐다. 역사적인 성과로 기록돼 길이 남을 일이다. 매주 토요일 광화문과 청와대 일대를 가득 장악한 촛불이 이룬 승리이다. 우리 현대사는 ‘4.19’와 ‘5.18’, 87년 6월 항쟁을 통해 새로운 미래를 열었다. 그런데도 또다시 2016년 ‘민중총궐기’ 함성을 외쳐야 하는 현실이다. 민란의 역사는 기존 질서의 모순을 대체하고자 하는 행동이었다. 실패..

매체기고/기타매체연재 2016.12.13 08:48
기원전 진승 봉기와 유방, 그리고 ‘21세기 민란’

민란의 현장에서 다시 꺼낸 <민,란> (05) 민란은 새로운 세상을 바꾸는 열쇠다. 독재와 가렴주구는 봉기의 깃발을 불러내고 민란과 토벌이 부수고 지키는 전투를 벌인다. 현실의 모순은 변화를 갈망하고 질적 전환을 이룬다. 2016년 12월 9일, 역사적인 ‘탄핵’의 아침이 밝아온다. 이제 박근혜 정부의 침몰 이후 새롭게 여는 아침은 어떤 세상일까? 봉건의 시대, 민란의 역사는 간혹 뜻밖의 지도자가 등장하고 새로운 왕조를 열고 통치..

매체기고/기타매체연재 2016.12.06 13:14
구중궁궐을 넘어 활과 화살이 되어

민란의 현장에서 다시 꺼낸 <민,란> (04) 청와대는 구중궁궐인가? 조선이 세운 경복궁 후원에 ‘황제’처럼 자리 잡고 있다. ‘부도덕’과 ‘무능력’에 더해 ‘국정농단’, ‘헌법파괴’의 주범 박근혜 대통령은 수백만의 촛불과 함성에도 불구하고 ‘귀 막고, 눈 가리고, 입 다물고’ 있는 삼불후(三不猴) 원숭이마냥, 꼭두각시처럼 미동도 하지 않고 있다. 국민이 세운 집에서 ‘예가 아니면 삼불’하라는 ‘공자님 말씀’ 한 가닥에 기대는 것..

매체기고/기타매체연재 2016.11.29 08:52
백만 대군을 이끌고 수도 장안을 점령한 황소 민란의 교훈

민란의 현장에서 다시 꺼낸 <민,란> (03) 경찰이 청와대를 차 벽으로 꽁꽁 에워싸고 있다. 백만 인파가 청와대로 가는 길을 향해 주말마다 진군나팔을 올리고 있지만 난공불락이다. 노동자, 농민, 학생, 시민단체 등 제각각 ‘퇴진’의 깃발을 향해 촛불이 환하게 빛을 내뿜고 있다. 대통령이 사는 곳은 황제가 거주하는 성처럼 철옹성이다. 민란의 역사는 물리력으로 성곽을 열어젖히기도 하고 민중의 힘에 놀라 황제가 수도를 버리고 도망가기..

매체기고/기타매체연재 2016.11.24 11:20
[차이나in인천] 용용 죽겠지?

“용용 죽겠지?” 신화나 전설에 등장하는 신비한 동물 용(龙)은 중국을 상징한다. 중화민족, 즉 한족을 대표하는 으뜸 동물이다. 갑골문(甲骨文)에 등장하는 용은 ‘하늘’과 ‘뱀’의 결합 형태다. 하늘을 날아다닐 정도로 패기에 넘치는 뱀을 토템으로 하는 부족이 아마도 한족의 옛 조상이었을지도 모른다. 뱀 토템 부족은 주위의 여러 부족을 굴복시킨 후 연맹으로 발전하지 않았을까?  용생구자(龙生九子), 용에게는 아들이 아홉이 있다. 명나..

매체기고/기타매체연재 2016.11.24 11:06
이전 1 2 3 4 5 다음
이전 다음
최근에 올라온 글
  • [모집] 북경 문화여행 및..
  • [특별] 여름방학 백두산과..
  • [특별] 여름방학 한여름 초..
  • [모집] 실크로드와 티베트..
최근에 달린 댓글
  • 가시지요~~~01049942201로 전..
  • 메일 드렸습니다.
  • 제가 현재 서안에 있습니다. 6..
  • 현지 조인시 가격 및 방법 좀..
링크
  • 페이스북(최종명)
  • 한겨레TV 차이나리포트
  • EBS세계테마기행
  • 플러스친구 차이나TV
Total
1,738,813
Today
17
Yesterday
136
+ daumblog, 1,100,283

13억과의대화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