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수민족 80

[수원시글로벌인문학] 민란으로 본 중국 문화 / 소수 민족의 삶

수원시국제교류센터와 영통도서관이 공동으로 진행하는 '중국인의 삶과 문화' 강좌가 온라인(ZOOM)으로 진행. 1. 8월 17일(수) 저녁 7시부터 ‘민란’으로 본 중국의 역사문화 기원전부터 근대에 이르는 민란의 치열한 역사 현장, 인문학 답사를 통해 중국 역사와 문화를 이해한다. 2. 8월 24일(수) 저녁 7시부터 중국 소수민족의 삶: 칠채운남과 다채귀주 중국 서남부 운남과 귀주의 소수민족, 아름다운 자연과 개성 강한 민족 문화를 담은 소수민족 문화를 체험한다.

'구름의 남쪽' 운남... 땀과 빛의 합작품 하니족 다랑논

구름의 남쪽, 신부의 연지 같은 다랑논에 취하다 [최종명의 차이나는 발품 기행] 윈난 민족 ① 젠수이, 위엔양 ‘구름의 남쪽’이라? 지구 어디에나 있으니 분명 ‘구름’은 구름이 아니다. ‘윈난(雲南)’이란 명칭은 원나라 시대 처음 등장했다. 기원전 한나라 무제의 꿈에 등장한 지방이라는 소설은 잊자. 남조국(南詔國) 왕이 당나라 장안을 방문해 ‘남변운하(南邊雲下)’에서 왔다고 했다. ‘구름’은 운산(雲山)이었다. 지금의 다리(大理) 북쪽 계족산(雞足山)이다. 현이었다가 군, 다시 성 이름이 됐다. ‘구름’에서 내려와 지도를 보면 정답이 보인다. ‘한서(漢書)’는 전국(滇國)이라 했다. 쿤밍 남쪽 뎬난(滇南)으로 간다. {계속}

[경기도언어교육연수원] 줌 강의 - 중국여행, 전통가옥, 소수민족

2021년 1월 18일 경기도언어교육연수원 주최로 줌 강의를 했습니다. 처음 해보는 비대면 강의라 다소 준비과정에서 노력을 꽤 했는데, PPT 자료 화면이 대단히 중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됐습니다. 중국여행 다니며 찍어둔 사진이 많아서 큰 도움이 됐습니다. 3시간에 걸쳐 '중국여행'의 기본 개요, '전통 가옥'의 형태와 역사문화, 운남과 귀주의 '소수민족'에 대해 강의를 했습니다. 경기도 학교의 선생님이 강의를 줌으로 들었습니다. 장소는 인천에 있는 여행도서관에서 진행했는데 나름 좋은 분위기를 청강생에게 전달할 수 없어서 아쉬웠습니다.

[음식기행-45] ‘깡촌’에서 먹는 길거리 국수 짱! 산 위에 구름 산이 펼쳐진 호수

모계사회 전통을 지닌 모쒀족의 터전 루구호를 가다 쓰촨 서남부 판즈화(攀枝花) 시를 출발해 장장 300km를 달려간다. 목적지는 모계사회 전통을 지닌 민족이 살아가는 루구호(泸沽湖)다. 아침 8시 조금 지나 출발한다. 시내를 빠져나가니 서서히 오르막 산길이다. 1시간가량 지나 고개 하나를 넘으니 능선이 줄줄이 이어진다. 안개가 솔솔 피어올라 산허리를 하얗게 물들이고 있다. 첩첩산중 펼쳐진 산골이다. 12월 초인데도 기온은 약 15도, 공기도 상쾌하다. (계속)

[공자-05] 먀오족 전통 복장의 서강천호묘채와 자매반 축제

묘족 전통복장과 오색찬란한 찹쌀밥 [최종명의 중국 산책] 천호묘채와 자매반 축제 구이양贵阳에서 동쪽 2시간 30분 거리 시장西江에 중국 최대 묘족 산채인 천호묘채千户苗寨가 있다. 입구부터 아름다운 묘족 전통 복장을 입은 아가씨가 환영 인사를 한다. 환경 보호를 위해 매표 후 차량을 타고 10분 가량 들어가면 마을이다. 마을 가운데를 흐르는 도랑을 따라 여유롭게 걷는다. 시간이 맞으면 오후에 열리는 공연을 볼 수 있다. 아이들 복장과 남장, 여장이 다르고 여장도 일상 생활할 때 입는 옷과 정장이 다르다. 공연하는 아가씨는 거의 정장에 가깝다.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민족 의상이라 칭찬 받는 은 장신구銀飾를 머리와 목에 둘렀다. 자수 문양이 박음질 된 파랑 윗옷과 빨갛게 두른 주름치마 입은 아가씨들이 알록달..

초콜릿 대신 오색밥…중국 ‘미식별민족’의 밸런타인데이

먀오족과 둥족도 있지만 ‘미식별민족’ 거자족도 있다 [최종명의 차이나는 발품 기행] 구이저우 ③ 동남부 – 카이리, 타이장, 충장, 리핑 구이양에서 검동남먀오족둥족자치주 카이리(凯里)까지 3시간 걸린다. 자치주 인구 470만 중 80%가 소수민족이고 먀오족(苗族) 200만 명, 둥족(侗族) 140만명 가량이다. 먀오족 나라라 해도 지나치지 않다. 중국 전체로 보면 좡족, 후이족, 만족, 위구르족에 이어 다섯 번째로 인구가 많은 먀오족. 2010년 기준 약 950만 명이다. 구이저우가 390만 명으로 가장 많다. 후난 200만 명, 윈난 120만 명 등 주로 서남부에 산재한다. 신중국 성립 후 문화와 전통이 대체로 비슷한 민족은 다 묶었다. 먀오족이 모이는 축제에 가면 동네마다 전통 복장부터 사뭇 다르다...

중국 소수민족의 지혜…‘19금’파격 의상과 공동 항아리

구이저우 남부에 '노브라' 차림의 소수민족이 있다니 [최종명의 차이나는 발품 기행] 구이저우 ① 남부 – 두윈, 싼두, 리보 구이저우 약칭은 검(黔)이다. 구이저우 서쪽에서 발원해 중앙을 거쳐 북쪽으로 흘러가는 오강(乌江)은 당나라와 송나라 때는 검강이라 불렀다. 오강은 장강(长江)의 지류다. 구이저우를 '38선'처럼 나누면 북쪽은 장강, 남쪽은 주강(珠江)과 연결된다. 소수민족이 많이 사는 '이남'에는 검강이 흐르지 않는다. 자치주 이름에 검 자를 쓰긴 해도 또다른 별칭인 귀(贵)라면 모를까, 그다지 어울리는 명칭은 아니다. 검남은 부이족먀오족자치주다. 여러 민족이 분포하는 경우 자치주나 자치현 등에서 두 민족 이상을 붙여 사용한다. {계속}

[강좌 05] 운남 차마고진

공개강좌 다섯 번째는 "운남 차마고진"입니다. '생명'의 푸얼차를 만드는 땅입니다. 마방의 땅, 차마고진을 차례로 살펴보면서 운남의 예쁜 하늘 여행을 즐깁니다. '구름의 남쪽' 운남 자연과 소수민족의 정서를 느낍니다. 쿤밍-젠수이-위엔양-다리-웨이산-시저우-샤시-펑위-리장-쑤허-옥룡설산-호도협-샹그릴라까지 강좌와 함께 문화여행을 떠납니다. 강의자료

다랑논 사이로 운무가 피어오르는 평안촌 객잔의 아침

소수민족 좡족 마을 평안촌平安村의 아침이다. 죽통밥을 짓는 주인은 아침부터 바쁘다. 운무가 솟는 아침에는 다랑논도 은근하게 자취를 감추고 바람은 시원하게 불어온다. 하루 묵어가면 참 좋은 평안촌 객잔을 나서 제일 첫번째 다랑논 개간지를 지나고 풍우교 사이를 지나 마을 떠난다. 길고 멋진 하룻밤의 추억이다.

여행 후기 2017.06.12

일곱개의 별과 함께 솟은 달을 연상시키는 칠성반월 다랑논

소수민족 좡족 마을 평안촌平安村에는 구룡오호九龙五虎와 함께 칠성반월七星伴月이라는 다랑논도 있다. 구룡오호에서 산길을 따라 30분 정도 천천히 걸으면 나타난다. 구룡오호가 웅장하고 동적이라면 칠성반월은 이름답게 평안하고 정적인 느낌이 든다. 아마도 별과 달을 상징하고 있어서 그런 듯하다. 처음 다랑논을 개간할 때 일곱 곳의 언덕이 생겨 빛나는 별처럼 보였으며 가장 높은 부위에 있는 다랑논은 마치 달처럼 보였다고 한다. 그래서 생긴 이름인데 사뭇 동화적이다.

여행 후기 2017.06.12

용 아홉과 호랑이 다섯이 환상적인 다랑논 구룡오호

소수민족 좡족 마을 평안존平安村 뒷산에는 멋진 다랑논이 펼쳐진다. 아홉마리의 용과 다섯마리의 호랑이가 용호상박이라는 구룡오호九龙五虎다. 다랑논에 용과 호랑이를 이름 붙이는 중국사람은 우리와 보는 눈이 남다른가 보다. 적어도 용허리처럼 긴 다랑논을 따라 오르는 길, 정상에 올라서 바라본 모습은 정말 용이 승천하듯 호랑이가 비상하듯 환상적인 모습과 닮은 듯하다. 정말 멋지다.

여행 후기 2017.06.12

구이저우 자오싱동채에서 성 경계 넘어 광시 평안촌에 이르다

구이저우 동남부 소수민족 마을 자오싱동채肇兴侗寨를 나와 고속철 충장从江 역을 지나 남쪽으로 30여분 달리다가 다시 강변 도로를 따라 동쪽으로 한참 달린다. 이 도로는 국도 321번으로 한적하지만 비포장도 있고 도로공사도 가끔 있어서 꽤 시간이 걸린다. 드디어 성 경계를 넘으면 광시 싼장三江이다. 룽셩龙胜의 각족자치현各族自治县을 지나 다랑논 풍경구인 룽지龙脊에 이른다. 각족이라고 따로 있지 않고 여러 각각의 민족이 모여 산다는 곳이다. 다시 풍경구 차량으로 환승해 3~40분 산길을 오르면 드디어 좡족壮族 마을 평안촌平安村에 도착한다. 약 4시간 30분의 긴 시간이 소요된다.

여행 후기 2017.06.12